728x90
반응형

약초와 건강 상식 68

[강황] 강황 효능과 강황 먹는 방법

강황은 실제로 건강상의 이점으로 유명하지만 강하고 약간 쓴 맛이 일부 사람들에게는 그냥 먹기에 어려울 수 있습니다. 다행히 강황의 쓴맛을 완화하면서 강황을 식단에 포함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다음은 강황을 지속적으로 섭취하는 방법과 카레가 맛의 균형을 맞추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강황의 특성 강황은 생강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카레 등에 넣는 향신료로 잘 알려졌다. 뿌리 식물에 속하며 다년생 허브로 겨자 같은 향과 매운맛이 있다. 음식과 잘 어울려 수십 가지 요리 양념으로 사용된다. 강황의 노란 빛깔은 강황 속에 풍부하게 들어있는 커큐민(curcumin)이라는 알칼로이드 성분 때문이다. 커큐민은 항산화 물질로서의 의학적으로도 그 효능을 인정 받았다. 대체의학..

[쇠뜨기 ] 쇠뜨기의 효능과 한의학적 가치,먹는 방법

속새목 속새과에 속하는 양치식물 쇠뜨기를 아시나요?소가 잘 뜯어 먹는 다고 쇠뜨기라고 불리우는 쇠뜨기 풀은원자폭탄이 떨어져 폐허가 됐던 일본 히로시마에서 가장 먼저 새싹을 틔운 풀로도 유명하답니다.그만큼  강인한 식물로 제거하기 매우 어려운 잡초인쇠뜨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쇠뜨기의 생태적 특징학명: Equisetum arvense쇠뜨기는 한국·중국·일본 등 북반구 온대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쇠뜨기는 생식줄기와 영양줄기가 있는데생식줄기는 나물로 먹고 영양줄기는 약용으로 사용합니다. 이른 봄(보통 3~4월 즈음)에 땅속줄기로부터 생식 줄기가 나오는데, 이것을 뱀밥이라고 한다. 생식 줄기는 가지를 내지 않고, 포자가 떨어지면 곧 말라죽는다. 잎도 살색이며, 혀꼴 부위는 암갈색이다. 포자낭 이삭은..

[운지버섯] 운지 버섯 구름 버섯 차 만드는 방법

암예방과 암치료에 특효가 있다고 알려진 운지버섯은달이듯 끓여서 차로 마시는 방법(운지버섯茶)과 술에 담가 먹는 방법(운지버섯酒)이 있습니다.일반적으로 버섯은 장기간 복용해야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적당량을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좋다.  1. 운지버섯차(茶) 만드는 방법:깨끗이 씻어 말린 구름(운지)버섯을 물에 넣고 15~20분정도 달이듯 끓여 먹는다.보리차와 같은 색이 우려나오고 향과 맛이 좋은 편이다. ▶ 재료: 운지 버섯 10~15g, 물 500ml▶ 만드는 방법 :깨끗이 씻어 말린 운지 버섯을 넣고 중불에서 15분 정도 끓여주면 간단하게 운지버섯차가 완성됩니다.운지버섯차는 건강에 좋은 성분과 고소한 맛과 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운지 버섯 효능과 놀라운 항암 성분, 먹는 방법구름처럼 생겨 운지..

[신선초 효능] 내일의 잎 신선초의 놀라운 항암 효과와 사용법

신선초는 쌍떡잎식물 산황화목 미나리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입니다. 신선초는 '명일엽'이라고도 불리며, '오늘 잎을 다 뜯어도 내일 다시 잎이 나온다'하여 내일의 잎으로 알려진 신선초의 성분과 효능 사용방법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항암식품 신선초의 특징 독성이 없다고 알려진 신선초는 아열대 지방 원산의 다년생 초본으로, 잎을 자르면 노란 즙액이 나오는 약초입니다. '명일엽'이라고도 불리며, '오늘 잎을 다 뜯어도 내일 다시 잎이 나온다'하여 '내일의 잎'으로도 알려져있습니다. 신선초는 독특한 향기와 쓴맛이 있어 주로 데쳐 나물로 먹거나 식초와 간장으로 만든 신선초 장아찌를 만들어 먹습니다. 항암식품 신선초의 성분과 효능 최근 녹즙용으로 많이 소비되고 있는 신선초는 인체에 유용한 성분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

[산야초] 무릇, 물구지, 물구의 효능과 부작용 / 요리 방법

배고픈 시절 풀죽을 만들어 먹었던 구황 작물 무릇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엿기름을 넣고 삭혀 고아서 엿을 만들어 먹기도 한 무릇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무릇이란? 무릇은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속명으로는 물굿, 물구지, 물구라고도 하며 생약명으로는 지란(地蘭), 면조아(綿棗兒), 천산(天蒜)이라고도 합니다. 산야초인 무릇은 잎, 줄기, 뿌리, 꽃을 약용으로 사용합니다. 무릇은 구황식물의 하나로, 음식이 귀한 옛날에는 무릇으로 풀죽을 만들어 먹었다고 전해집니다. 무릇 소개 ▶ 학명: Scilla scilloides (LIND.) DRUCE.이다. ▶ 서식장소 : 전국의 산과 들, 주로 낮은 언덕 지대 ▶ 분포지역 : 아시아 동북부의 온대에서 아열대까지 ▶ 꽃: 7∼9월경에 길게 올라온 꽃대 위에 ..

[광대나물] 광대 나물 성분과 효능 사용 방법, 먹는 방법

이것도 나물이야?산과 들에 지천에 깔린 대표적인 풀떼기인 광대나물은 이른 봄에 꽃이 피는 한 두해 살이 풀입니다.뽑지 않으면 금방  무성하게 자라서 정원을 다 덮을 정도로 잡초취급을 받는 광대 나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광대나물의 특징광대나물(Lamium amplexicaule)은 꿀풀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로,유라시아 원산의 구귀화식물입니다.광대나물은 꽃을 받치는 잎이 광주리처럼 생겨서 '광주리나물꽃'이라고도 합니다. 한국에서는 전국 각지의 햇빛이 잘 드는 비옥한 땅에서 자라며,고도가 높지 않은 산지의 햇볕이 비교적 잘 드는 지대에 자랍니다.뿌리 부근에서 여러 갈래로 올라온 줄기에는 마디마다 층을 이뤄잎이 마주 달린다. 잎은 둥글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꽃은 3~5월에 피며, 줄기에 돌려 달리는 ..

[산야초] 별꽃나물 : 곰밤부리 나물의 성분과 효능

봄이 되면 산과 들에는 먹을 수 있는 산야초들이 널려있습니다. 특히 봄에 먹을 수 있는 대표적인 산야초 나물에는 '곰밤부리 나물'이 있습니다. 별꽃나물로도 알려진 곰밤부리는 나물로 먹어도 맛있고 된장국이나 초무침을 해 먹어도 매우 맛있는 산나물입니다. 누구나 좋아하는 곰밤부리 나물의 성분과 효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별꽃나물 : 곰밤부리 나물의 학명과 특징 1. 곰밤부리 나물의 학명: 곰밤부리나물의 학명은 "Adenophora triphylla"이며, 한국에서는 "곰밤부리" 또는 "곰밤부리나물"로 불립니다. 이 식물은 한국과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자생하며 오래 전부터 한의학에서 사용되어 왔습니다. 곰밤부리나물은 새싹이 부드럽고 미각에 적절한 맛을 가지고 있어 한국 요리에서도 종종 사용됩니다..

[산야초] 머위, 머우, 머웃대의 효능 및 부작용, 주의점

머위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머우, 머구, 머웃대로 불리는 나물이다. 초봄에 나는 어린 머위는 잎과 줄기는 나물로 먹고 다 자란 머위는 주로 줄기를 껍질을 벗겨 나물로 애용한다. 미위의 영양과 효능 및 부작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머위의 특징 봄이 되면 머위는 매서운 추위를 이겨내고 잎보다 꽃대가 먼저 올라옵니다. 꽃은 잎보다 앞서 4~5월에 핀다. 암꽃은 백색, 수꽃은 황백색을 띤다. 꽃이 진 뒤에 나오는 줄기는 40~60cm이고, 잎은 지름이 20~30cm다. 줄기를 자르고 나면 다시 자라나므로 연간 2~3회 채취할 수 있다. 머위꽃의 꽃말: 머위꽃의 꽃말은 '공평', '공정한 심판',‘한결같은 마음’입니다. 머위는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로, 잎은 원형이고 암꽃과 수꽃의 색갈이 다릅니다. 봄나물의..

[산야초] 신맛이 강한 수영, 시금초, 괴싱아의 성분과 효능 부작용

산야초 수영이라는 약초를 아시나요? 줄기와 잎은 먹으면 신맛이 나기 때문에 시금초, 괴싱아라고도 불립니다. 수영은 소리쟁이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좀더 붉은 색갈의 깔끔한 형태를 갖고 있답니다.산과 들판에서 흔히 자라는 키 큰 풀꽃인 수영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산야초 수영의 생태적 특징:▶산야초 수영은 여러해 살이 풀로 짧고 통통한 노란 뿌리를 가지고 있다. ​ ▶ 꽃말은 '애정'으로 꽃은 녹자색으로 자잘하게 달린다 . ▶ 줄기는 높이 30~80cm이다. 원줄기는 곧게 서고 원주형이며 줄이 있고, ▶ 녹색 또는 홍자색을 띠며 신맛이 난다. ▶ 생김새는 토대황이나 소리쟁이와 비슷한데 끓는 물에 데치면 ▶ 물 색갈이 핑크빛 붉은 색이 우려나오고 미끌거리며 신맛때문에     선호도가 있다. ▶ 약용으로 ..

운지 버섯, 구름버섯 효능과 놀라운 항암 성분과 효능, 먹는 방법

구름처럼 생겨 운지버섯, 또는 구름버섯으로 불리는  버섯을 아시나요?운지버섯은 예부터 항암버섯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습한 숲속에서 자생하는 운지버섯의 놀라운 항암효과와 성분 및 효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운지버섯이란?운지버섯은 구름버섯이라고도 불리며,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에 속하는 버섯입니다. 1. 운지버섯의 생태환경운지버섯은 습도가 높은 숲 속 활엽수의 고목이나 죽은 나무, 그루터기에서 무리지어 붙어 주로 자생하며, 갓의 두께는 5~18mm입니다.  ▶ 외관:       운지버섯은 흑색 혹은 회색을 띠며 원형 또는 반원형이 무리 지어       나무에 붙어 있어 마치 구름 처럼 보이는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 맛과 향:       신선한 운지버섯은 부드럽고 고소한 맛을 가지며,   ..

728x90
반응형